무릎 수술 인공관절 수술, 연골판 수술 실비보험 보험금 보상 지급되는지 설명드립니다.
40대 이상이나 운동 선수 출신들의 경우 무릎 연골이나 연골판 손상, 관절 이상을 호소하는 분들이 많습니다. 이때 병원에 방문하면 가장 많이 듣는 소리가 수술입니다.
2021년 건강보험 심사평가원 자료에 의하면 무릎 수술비용 에서 무릎 관절 치환술을 양무릎에 했을 경우평균 1,080만원의 비용이 발생을 한다고 합니다.
무릎 반월상 연골판 수술은 한 쪽을 했을 경우 180만원 정도 비용이 발생을 합니다.
결코 적지 않은 금액입니다. 금전적으로 부담이 되죠.
우리나라 국민의 75%가 가입했다는 실비보험으로 무릎수술 보험금을 받을 수 있을 까요?
무릎수술 실비보험 보험금 보상될까?

네, 보상됩니다.
무릎 수술을 해도 실비보험에서 보상이 이루어 집니다. 가입한 시기에 따라 보상이 다르지만 대부분 자기 부담금 최대 10% ~ 30% 제외하고 보험금 보상이 이루어집니다.
예전에 가입한 실비보험(실손보험)의 경우 자기부담금이 없는 실비보험도 있습니다.
예전 2009년 정도에 가입한 1세대 실손보험은 병원비 전부를 보상 받을 수 있습니다.
그 후에 가입한 실비보험들은 최소 10%에서 최대 30%까지 본인 부담이율이 있습니다.
세대 | 가입시기 | 자기부담금 급여 | 자기부담금 비급여 |
1세대 | 09년 9월까지 | 0% 생명보험사 20% | 0% 생명보험사 20% |
2세대 | 17년 3월까지 | 10% / 20% | 10% / 20% |
3세대 | 21년 6월까지 | 10% / 20% | 20% |
4세대 | 21년 7월 이후 | 20% | 30% |
최근 주변 분이 무릎 수술을 하셨는데, 3세대 실비보험을 가지고 계셨습니다. 병원비용이 총 200만원 정도 나왔는데, 이중에서 자기 부담금20%를 제외하고 160만원 실비보험금으로 보상을 받았다고 합니다.
보험 추가 보상 받는 팁
자신이 가입한 건강보험 중 분명히 수술비를 지원해주는 보험들이 하나씩 끼워져 있을 것입니다.
수술비라고 적힌 특약이 보이면 보험사에 보험금을 청구하시면 됩니다.
수술비 특약이 있는지 모를때는 보험사에 전화로 확인하면 빠르게 확인 가능합니다.
보험이 어디에 가입되어 있는지 전혀 모를 때는 생명보험, 손해보험 협회에서 운영하는 사이트에서 조회가능합니다.
특약이 가입되어 있다면 아래 서류를 준비해 보험사에 청구하면 수술비까지 함께 받을 수 있습니다.
실비보험을 신청 할 때도 아래 서류는 동일합니다.
필요한 서류는
– 진단서
– 입퇴원확인서
– 병원비 수납 영수증(카드 영수증 아님)
– 약제비 영수증
무릎 수술은 실비보험 적용 대상입니다.
그리고 실손의료보험(실비보험)말고, 건강보험이 있다면 수술비 특약이 있는지 잘 살펴 보세요.
수술비 특약이 가입되어 있다면 계약된 수술비를 지급 받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