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비보험 가입시기 세대별 실손보험 보장 차이- 간단정리

실비보험 가입시기 세대별 실손보험 차이를 간단히 정리했습니다.

실비보험 가입시기 세대별 실손보험 보장 차이 내용

실비보험은 실손보험이라고도 불리며 가입한 시기에 따라 1세대부터 4세대까지 나누어집니다.
그리고 각 세대별 보장내역이 차이를 보이고 있습니다.

이를 간단히 정리해 이해하기 쉽게 설명드리죠.

가입한 시기에 따라 세대별로 나뉘어집니다.


실비보험 가입시기별 보장 차이

1세대 실손보험 (~2009년 9월)

  • 보장 내용: 급여와 비급여 모두 100% 보장.
  • 자기부담금: 입원 없음, 통원 5,000원
  • 특징: 해외치료 상해,질병으로 입원, 통원 모두 40% 보장. 통원비와 약제비 구분 없음.
  • 장점: 보장이 가장 크며, 자기부담금이 없어 많은 혜택 제공. 하지만 보험료가 비쌈.

2세대 실손보험 (2009년 10월~2017년 3월)

  • 보장 내용: 급여 90%, 비급여 80~90% 보장.
  • 자기부담금: 통원 시 병원 규모에 따라 1만 원~2만 원, 약제비 8천 원.
  • 특징: 표준화된 실손보험으로 모든 보험사에서 동일한 보장 조건. 급여와 비급여를 분리하지 않고 보장.
  • 장점 및 단점: 보장율이 높고 보장 조건이 통일되어 안정적이지만, 자기부담금이 일부 증가함.

3세대 실손보험 (2017년 4월~2021년 6월)

  • 보장 내용: 급여 90%, 비급여 80% 보장.
  • 비급여 특약: 도수치료, 체외충격파 치료, 증식치료, 주사료, MRI 등이 포함된 비급여 특약 신설.
  • 자기부담금: 비급여 3종 70% 보장(자기부담금 2만 원과 30% 중 큰 금액).
  • 특징: 과잉진료 방지를 위해 보장비율이 조정됨.
  • 장점 및 단점: 비급여 항목에 대한 보장 강화, 하지만 보장 비율이 감소하고 자기부담금이 확대됨.

4세대 실손보험 (2021년 7월~현재)

  • 보장 내용: 급여 80%, 비급여 70% 보장.
  • 자기부담금: 급여는 병원별 1~2만 원과 20% 중 큰 금액, 비급여는 3만 원과 30% 중 큰 금액.
  • 특징: 저렴한 보험료, 비급여 항목에 대한 할인 및 할증 제도 적용. 기존 보장이 되지 않던 일부 질환 보장 확대.
  • 장점 및 단점: 보험료가 저렴해졌지만 보장 비율이 낮아짐. 비급여 항목에 대한 할증 제도 도입으로 부담 증가 가능성.

세대별 주요 변화와 특징

  • 1세대부터 4세대까지 내려오면서 자기부담금이 증가하고 보장 비율이 점차 낮아졌습니다.
  • 3세대부터는 과잉진료 방지를 위해 비급여 항목에 대한 보장 비율을 줄였고, 4세대에서는 비급여 보험금 청구에 따른 할증 제도까지 도입되었습니다.
  • 보험료 측면에서는 4세대 실손보험이 가장 저렴하며, 보험금 지급 기준 또한 간소화되었지만, 보장 범위가 줄어들면서 자기부담이 커진 것이 특징입니다.

이 글은 각 세대별 실손보험의 주요 보장 내용과 장단점을 비교하며 요약한 내용입니다. 선택 시 각 세대의 자기부담금, 보장 비율, 보험료 등을 고려하여 자신에게 가장 적합한 보험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