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모님을 모시고 재활병원에 입원 중인 상황에서 대학병원 외래진료를 받으러 가야 했던 경험이 떠오릅니다. 당시 갑작스럽게 대학병원을 방문해야 했던 이유와 이후 처리 과정에서 느낀 점, 그리고 여러분께 도움이 될만한 정보를 공유해드리려고 합니다.
대학병원 외래진료, 건강보험이 왜 적용 안 될까?
우선, 재활병원에 입원 중인 상태에서 대학병원이나 다른 병원을 방문해 외래진료를 받는 경우, 건강보험 적용이 되지 않는다는 점을 알게 되었습니다.
이는 동시에 두 개의 의료기관에서 건강보험을 사용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결과적으로 대학병원에서의 외래진료비는 100% 본인 부담으로 결제해야 했습니다.
부모님께서 받으신 진료비를 확인해보니 생각보다 높은 금액이라 당황스러웠습니다.
건보(건강보험)적용이 안되면 약값 50만원은 우습습니다.
병원비 비싸고, 약값 비싸다는 것을 느끼게 됩니다.
그러나 방법은 있습니다.
재활병원에서 대학병원으로 외래진료 병원비
이때는 대학병원 병원비 건강보험 적용 안되니, 환자가 100% 부담합니다.
대학병원 병원비 내역서 모두 준비.
재활병원에 대학병원 병원비 내역서 제출.
퇴원 시 또는 2개월 정도 후 정산받을 수 있습니다.
번거롭지만 꼭 필요한 환급 과정
이후 재활병원에서 이를 정산받는 방법을 알게 되었는데,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 대학병원에서 진료비를 전액 결제
대학병원에서 외래진료를 받는 즉시, 진료비를 100% 본인 부담으로 결제합니다.
진료 후 받은 영수증과 진료기록 세부내역서를 잘 보관해야 합니다.- 가장 좋은 방법은 대학 병원에 가기 전 필요서류를 재활병원에 먼저 문의하세요.
- 재활병원에 제출해야 할 서류 준비
대학병원에서 받은 다음 서류를 재활병원에 제출해야 합니다.- 외래진료비 영수증
- 진료기록 세부내역서
- 검사비용 및 약값 상세 내역
- 재활병원에 서류 제출 및 정산 요청
재활병원에 서류를 제출하면, 재활병원 측에서 이를 건강보험 적용으로 처리하여 정산 절차를 진행합니다.- 이때 시간이 조금 소요되기 때문에 한 두 달정도 기다리셔야합니다.
- 정산 금액 환급
정산 과정은 약 2개월 정도 소요되며, 이후 본인 계좌로 환급받을 수 있습니다.
환급 금액은 대학병원 외래진료에 대해 건강보험이 적용된 금액으로 지급됩니다.
직접 경험한 처리 과정, 느낀 점
처리 절차를 진행하면서 느낀 점은 번거로움이 크다는 것입니다.
특히 부모님께서 연세가 있으셔서 여러 병원을 오가며 서류를 준비하는 것이 쉽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재활병원 측에서 환자와 보호자의 부담을 줄이기 위해 안내를 상세히 해준 덕분에 무사히 절차를 마칠 수 있었습니다.
중요한 팁: 준비를 철저히 하세요
- 대학병원 진료 전 재활병원에 문의
대학병원을 방문하기 전에, 재활병원에서 필요한 서류를 미리 안내받아 준비하는 것이 좋습니다.
간혹 추가 서류를 요구할 수 있으니 확인하세요. - 서류는 꼼꼼히 보관
외래진료 영수증, 내역서는 반드시 원본을 보관하고, 복사본도 준비.- 실비보험이 있다면 그곳에도 청구하시면 되기에 복사본도 미리 준비해 주세요.
재활병원 입원 중 대학병원 외래진료를 받는 상황은 흔치 않지만, 이를 알아두면 혹시 모를 상황에서 도움이 될 것입니다. 저도 처음에는 복잡하고 부담스러웠지만, 이번 경험을 통해 적절히 대처할 수 있었습니다. 여러분도 비슷한 상황에 처하신다면 위 정보를 참고하셔서 차분히 절차를 진행하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