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골격계 및 결합조직 질환의 주요 질병코드(M00-M99)를 정리했습니다. 관절염, 골다공증, 디스크, 류머티즘 등 관련 질환의 보험 청구 가능 여부를 알아보세요. 보험 약관에 따른 청구 방법과 유의 사항도 안내합니다.
근골격계 및 결합조직 질환이란?
근골격계 및 결합조직 질환(M00-M99)은 뼈, 관절, 근육, 인대, 결합조직에 발생하는 모든 질병을 포함합니다. 흔히 관절염, 디스크, 류머티즘 질환 등이 여기에 해당됩니다. 이들 질환은 일상생활에 큰 영향을 미치며, 실비보험이나 기타 보험을 통해 병원비를 보장받는 경우가 많습니다.
M00-M99 코드 병
코드 | 병명 |
M00-M25 | 관절병증 |
M00-M03 | 감염성 관절병증 |
M05-M14 | 염증성 다발관절병증 |
M15-M19 | 관절증 |
M20-M25 | 기타 관절장애 |
M30-M36 | 전신결합조직장애 |
M40-M54 | 등병증 |
M40-M43 | 변형성 등병증 |
M45-M49 | 척추병증 |
M50-M54 | 기타 등병증 |
M60-M79 | 연조직장애 |
M60-M63 | 근육장애 |
M65-M68 | 윤활막 및 힘줄장애 |
M70-M79 | 기타 연조직장애 |
M80-M94 | 골병증 및 연골병증 |
M80-M85 | 골밀도 및 구조장애 |
M86-M90 | 기타 골병증 |
M91-M94 | 연골병증 |
M95-M99 | 근골격계통 및 결합조직의 기타 장애 |
M01 | 달리 분류된 감염성 및 기생충 질환에서의 관절의 직접 감염 |
M03 | 달리 분류된 질환에서의 감염후 및 반응성 관절병증 |
M07 | 건선성 및 장병증성 관절병증 |
M09 | 달리 분류된 질환에서의 연소성 관절염 |
M14 | 달리 분류된 기타 질환에서의 관절병증 |
M36 | 달리 분류된 질환에서의 결합조직의 전신장애 |
M49 | 달리 분류된 질환에서의 척추병증 |
M63 | 달리 분류된 질환에서의 근육장애 |
M68 | 달리 분류된 질환에서의 윤활막 및 힘줄의 장애 |
M73 | 달리 분류된 질환에서의 연조직장애 |
M82 | 달리 분류된 질환에서의 골다공증 |
M90 | 달리 분류된 질환에서의 골병증 |
질병코드 M00-M99: 주요 카테고리 및 설명
1. M00-M25: 관절 질환
- M00: 화농성 관절염
- M05: 류머티스 관절염
- M15: 다발성 관절염 (예: 퇴행성 관절염)
2. M40-M54: 척추 및 후방 연조직 장애
- M41: 척추측만증
- M47: 척추증
- M51: 디스크 질환 (추간판 장애)
3. M60-M79: 연조직 장애
- M65: 힘줄염 및 건초염
- M70: 과사용 증후군 (반복적인 스트레스로 인한 근육 및 인대 손상)
4. M80-M94: 골 질환
- M80: 골다공증으로 인한 병적 골절
- M84: 뼈 치유 장애
5. M95-M99: 기타 근골격계 장애
- M95: 척추 변형
- M99: 척추 및 관절의 기계적 장애
보험 청구 시 유의할 점
1. 청구 가능한 항목
실비보험은 질병 및 상해로 인한 치료비를 보장하므로, 근골격계 질환의 검사, 치료, 수술비 등이 포함됩니다.
- X-ray, MRI, CT와 같은 영상검사
- 도수치료, 물리치료
- 관절염, 디스크 수술
2. 청구 불가능한 항목
- 비급여 항목(특정 도수치료, 한방 치료 등)은 일부 보험 약관에서 제외될 수 있습니다.
- 질병의 원인이 단순 노화로 판단될 경우 보상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3. 필요 서류
- 진단서 및 소견서
- 영수증 및 진료비 세부내역서
- 보험사 지정 청구서